


- 농업개발
-
- 1960년대 우리나라는 국민 대다수가 매 끼니를 걱정할 정도로 배고프고 가난한 시절이었다. 흔히들 말하는 ‘보릿고개’는 배고픔의 대명사였다. 매년 겪어야 했던 식량문제를 획기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주식인 쌀의 신품종을 개발하는 것이었다. 그것이 바로 단위당 생산량이 다른 품종들보다 30%나 높은 통일벼였다. 일반벼는 이삭 당 낱알이 80~90개인데 비해 통일벼는 40%가 더 많은 120~130개가 생산되었다. 통일벼는 ‘주곡의 자급달성과 녹색혁명 성취’라는 오랜 집념이 결실이었다. 그 결과 우리나라는 1975년 주곡인 쌀의 자급자족을 이룰 수 있었다.
어록
- 지금 우리에게는 행동하는 농촌지도자, 참다운 농민의 아들이 그 무엇보다 아쉬운 것이다. 신념 없고, 용기 없고, 희망이 없는 주위 사람에게 신념과 용기와 희망을 줄 수 있는 헌신적인 농촌의 개척자와 지도자가 그 어느때보다 필요한 것이다.
- 농업의 근대화를 추진함에 있어 가장 중요하고도 시급한 과제는 유능하고 근면한 농촌지도자의 양성, 그리고 농민의 생산적이고 과학적인 정신과 자세를 확립하는 일이다.
- "우리 힘으로 잘 살아보겠다는 굳은 신념과 우리고장을 부유하고 살기좋은 낙원으로 건설하려는 의지는 메마른 황토를 옥토로 바꾸어 헐벗은 산야를 기름진 녹원으로 만들어 자립 자존하는 민족중흥의 길을 반드시 열어 놓고 말 것입니다."
- 한 치의 땅, 한 치의 바다라도 더 가꾸고 메워 황금의 옥토를 만들겠다는 개척정신(開拓精神)과 새로운 기술로써 우리의 마을을 잘 살고 근대화한 농촌으로 건설해 나가야한다.